
용산미군기지, 온전한 반환을 위한 염원 담아

뉴스1, 211226
용산공원 부지 243만㎡→300만㎡로 늘어나... 개원 2027년→반환 후 7년으로 연기
용산 미군기지 이전 이후 조성될 용산공원의 면적이 더 늘어났으나 주한미국대사관 직원숙소 부지를 국토부가 기부 채납받은 아세아아파트 150호와 교환하기로 함.- 용산공원은 당초 미군이 2016년 전체 기지 반환을 완료하는 것을 전제로 2027년 공원조성 완료 및 개원 일정으로 추진되었으나 한미간 협의에 따라 기지반환 일정이 결정되는 점을 고려해 "기지반환시점을 N년으로 설정하고 N+7년 개원으로 계획을 수정함
- 한편, '온전한 생태평화공원조성을위한 용산시민회의'(대표 김은희)를 비롯한 지역 주민단체들이 용산공원 부지로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는 기지내 미군 드래곤힐호텔(8.4만㎡)과 헬기장(5.7만㎡) 등이 여전히 미군 운영시설로 남아있는 것은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임.
- 또 국방부 뒷편에 남아있는 헬기장은 지금도 인근 이촌동 주민들로부터 소음과 안전문제에 대한 민원대상이라며 이전을 요구하고 있음.
통일뉴스, 211227
깐깐해진 라캐머라, DMZ 방문 관행 용납 불가 선언
- 유엔군사령부(유엔사)는 윤석열 후보의 백골부대 방문 때 전투복을 입고 다닌 것에 대해 정전협정 위반사항을 지적, 이례적으로 공개 비판함. 이는 폴 라캐머라 유엔군 사령관이 한국 정치인에게 편의를 제공하던 관행을 뿌리 뽑겠다는 선언을 한 것으로 풀이됨.
- 국방부와 육군 3사단 백골부대는 관행대로 윤 후보에게 군복과 군사경찰 완장을 제공했는데 유엔사가 갑자기 태도를 바꿨다는 것.
- 라캐머라 사령관의 불만이 오랜 기간 누적된 상태였다는 관측이 제기됨. 유엔사가 그간 반복적으로 한국군에 정치인의 비무장지대 방문 관행에 문제를 제기해왔음에도 한국군이 사실상 이를 무시한 채 환대에만 몰두했다는 지적.
- 일각에서는 라캐머라 사령관이 종전 선언 추진 등으로 한국 내부에서 유엔사 존립 근거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비무장지대 관리 기구로서 존재감을 부각시키려 했다는 해석도 있음.
뉴시스, 211223
유엔사의 한국주권에 대한 도전-유엔사, 대선 앞둔 정치판에 뛰어드나
- 유엔사가 윤석열 후보의 백골OP 방문에 대해 12월 22일 "정전협정 위반"이라며 성명을 발표함
- 유엔사는 백골사단이 자신들의 '법적지시'를 준수하지 않았다고 함
- 2019년판 유엔사규정 551-4에는 자신들을 한국군에 대한 '지휘권자'라고 명시하기도 함.
- 한국헌법에서는 유엔사에 '법'제정권한을 부여한 적이 없음에도 '법적지시'라며 법을 운운함.
- 정전협정은 한국이 비준한 바 없고 한국군의 '자발적 협조'가 있었을 뿐임.
- 또한 유엔사는 정전협정을 시행할 행정력을 가지고 있지 않음. 비무장지대에 대한 출입실무는 한국군의 자발적 협조가 없으면 유엔사로서는 불가능한 상황
- 정전협정위반에 대한 조사와 처리권한은 군사정전위원회가 가지고 있음.
- 그러나 94년 인민군이 군사정전위원회 폐쇄를 통보함으로서 군정위는 사라졌고 유엔사에 '조사'할 권한은 없음
- 유엔사는 정전협정과 '대한민국정부와 체결한 기존합의'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함
- 그러나 대한민국과 유엔사와 체결한 합의는 없고 합참과 유엔사 간의 기록각서만 있음.
- 여기에도 3항을 살펴보면 '국제법상의 법적권한과 의무를 창출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음
- 한국이 정전협정준수에 대해 법률적 책임을 질 이유가 없는 것
- 현재 비무장지대와 한강지구에는 유엔사가 주장하는 관할권과 국내법령이 된 9.19남북군사합의서의 관할권이 팽팽히 대치하고 있음
- 9.19남북군사합의서는 국내법령이지만, 정전협정은 국내법이 아님.
- 당분간 비무장지대와 한강하구에서 유엔사와 합참의 관할권이 병존하거나 긴장하거나 충돌하는 것은 불가피함
- 책상을 치고 나오는 결기로 유엔사와의 관계를 새롭게 조정해야함.
통일뉴스, 211224
美·日 협정 때문에.. 미군기지 집단감염에 속수무책인 일본
-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 캠프 한센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 23일 기준 227명.
- 일본은 자국 내 미군기지에서 발생한 집단감염을 두고선 사실상 속수무책인 상황.
- 아사히신문은 “주일 미군기지가 집중된 오키나와에 국경 검역 대책에 구멍이 뚫렸다”고 진단.
- 도쿄신문은 “미일 지위협정이나 미일 합동위원회 합의 등 때문에 일본이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도 취할 수가 없다”며 “집단감염이 발생했는데도 ‘미군이 마스크를 하지 않거나 기지 밖에서 술이나 음식을 (마음대로) 즐기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꼬집음.
세계일보, 211223
용산미군기지, 온전한 반환을 위한 염원 담아
뉴스1, 211226
용산공원 부지 243만㎡→300만㎡로 늘어나... 개원 2027년→반환 후 7년으로 연기
통일뉴스, 211227
깐깐해진 라캐머라, DMZ 방문 관행 용납 불가 선언
뉴시스, 211223
유엔사의 한국주권에 대한 도전-유엔사, 대선 앞둔 정치판에 뛰어드나
통일뉴스, 211224
美·日 협정 때문에.. 미군기지 집단감염에 속수무책인 일본
세계일보, 211223